Upgrade to Pro — share decks privately, control downloads, hide ads and more …

Career?

Avatar for Siyoung Oh Siyoung Oh
September 23, 2015

 Career?

이 자료는 경기과학고에서 정보올림피아드에 관심이 있는 후배들과 커리어에 대해 얘기해보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2015년 국가대표 중 세 명이 현재 본교를 다니고 있고, 다른 학생들도 한국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상황입니다. 발표 자료를 만들 때 이런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특수한 가정들이 많이 들어갔음을 참조 바랍니다.

Avatar for Siyoung Oh

Siyoung Oh

September 23, 2015
Tweet

More Decks by Siyoung Oh

Other Decks in Education

Transcript

  1. README 이 자료는 경기과학고에서 정보올림피아드에 관심이 있는 후배들과 커리어에 대해

    얘기해보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2015년 국가대표 중 세 명이 현재 본교를 다니고 있고, 다른 학생들도 한국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상황입니다. 발표 자료를 만 들 때 이런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특수한 가정들이 많이 들어갔음을 참조 바랍니다.
  2. About me - 대회 • IOI - no gold •

    ACM ICPC x 2 - no medal • TopCoder Open on-site - yellow coder • Putnam Math I - no HM
  3. About me - Profession • 한국에서 19년 ◦ ~ 고등학교

    • 미국에서 4년 ◦ 1 University ◦ 3 Internships • 다시 한국에서 3년 ◦ 2 Jobs • 다시 미국
  4. 커리어 = 노답 • 누군가 답을 내려줄 문제가 아님. ◦

    어차피 누구도 10년 뒤 세상을 예상 못 함. => 고민은 계속하는 것. ◦ 2005년 최고의 폰은 노키아였음. (아이폰은 2007년에 나옴) ◦ 2005년 페이스북 사용자 수: 500만 명 (지금은 15억 명) ◦ 내 미래도 혼돈뿐.. • 그냥 먼저 이리저리 삽질 및 고민한 경험을 공유. ◦ 내가 해봐서 아는데… => 해봐도 모르고, 개인마다 시대마다 다르다. ◦ 이상한 건 질문해주세요. • 미리 생각해보는 게 좋다. ◦ 억울하겠지만, 나이를 먹을수록 삽질하는데 드는 비용이 커짐. ◦ => 어릴 때 삽질을 많이 해보는 게 이득.
  5. 노답 but 패턴은 존재 • 성장은 중요하다. ◦ 개인이 성장할

    수 있는가? ◦ 전체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가? • 환경은 중요하다. ◦ 주위에 똑똑한 인간들이 많아야 한다. • 적성은 중요하다. ◦ 마음에 안 드는 것을 지속해서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6. Why 성장? • 커리어는 길다. • 한 해에 몇 %씩

    성장한다면? (인생이 일차원은 아니지만) ◦ 기준은 본인이 찾아가야 하는 것. • 옆에 있는 친구가 아니라, 과거의 나보다 성장하는 것이 중요. 10년 20년 40년 50% 57.7 3325.3 11,057,332 10% 2.6 6.7 45.3 5% 1.6 2.7 7.0
  7. Why 환경? • 모든 환경에서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 개인의 노력에는 한계가 있다. Bay Area (인구: 7백만) Apple ($775b), Google ($478b), Facebook ($270b), Oracle ($195b) Netflix ($50b), Uber ($40b), Tesla ($36b), Twitter ($35b), LinkedIn ($34b), Airbnb ($20b) : 어마어마한 스케일 + 다양한 업종 및 규모 South Korea 수도권 (인구: 2천만) Samsung E ($250b), Naver ($25b), Kakao ($8b), Nexon ($7b), NCSoft ($5b) : 삼성 + 게임 & 포탈 & 메신저 (2015년 기준 시가 총액, 개발자가 굉장히 중요한 회사들)
  8. Why 적성? • 기업: 돈만 버는 존재는 아니다. ◦ 각자의

    비전에 따라 가치를 창출하는 곳. ◦ 가치관 & 조직 문화는 굉장히 다를 수 있다. ◦ 그리고 이와 안 맞으면 보람을 느끼기 쉽지 않음. ◦ 이는 대학원도 마찬가지. • 선택의 폭이 넓으면 좋다.
  9. Case Study: 미국 • 기본적으로 개발자는 시장이 큰 곳에서 먹힌다.

    ◦ Whatsapp은 50명 규모의 회사지만 사용자는 9억 명. (현재 페이스북에 인수) • You are wanted ◦ 추상화 / 문제 풀이 능력 등에 강한 여러분의 스킬은 미국에서 먹힘. ◦ (한국에서는 비교적 안 먹힐 수도?) ◦ 이 능력의 차이는 남들이 따라잡기 정말 어려움. ◦ 미국 IOI 출신들은 고등학생 때부터 facebook, quora 등에서 인턴십.
  10. Risk and bet • 타지 생활은 당연히 어렵다. ◦ 문화

    언어 음식 … 모든 생활이 달라진다. ◦ 개인적으로 안 맞을 수도 있다. • 영어가 걸림돌? ◦ 그러나 앞으로는 더 그럴 것임. ◦ 10년 후에는 영어가 잘해질까? (양심?) ◦ 중국어도 중요해질지 모름. • 한국 기업 & 학교들도 어차피 해외 진출을 해야 함. ◦ 타의로 하게 될지도 몰라요. • Next big thing? ◦ IoT, self-driving, VR / IR, Cloud, … ◦ 어느 나라가 시장을 선도할까요?
  11. Quotes • Mark Zuckerberg (Founder and CEO of Facebook) ◦

    The biggest risk is not taking any risk... In a world that changing really quickly, the only strategy that is guaranteed to fail is not taking risks. ◦ 가장 위험한 전략은 어떠한 위험도 취하지 않는 것이다.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실패하는 게 확실한 유일한 전략은 어떠한 위험도 취하지 않는 것이다. • Jeff Bezos (Founder and CEO of Amazon) ◦ What really matters is, companies that don’t continue to experiment, companies that don’t embrace failure, they eventually get in a desperate position where the only thing they can do is a Hail Mary bet at the very end of their corporate existence. Whereas companies that are making bets all along, even big bets, but not bet-the-company bets, prevail. I don’t believe in bet-the-company bets. ◦ 계속해서 실험하지 않고, 실패를 포용할 줄 모르는 기업은 결국, 존재를 걸고 올인하는 것 말 고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순간이 온다. 하지만 계속해서 위험을 취하는 기업은 살아남는다. 종
  12. How • 바로 유학? ◦ 삼성 / 대통령 / 관정

    장학금. • 바로 취업? ◦ 비자: 왜 외국인이 힘든지 보여주는 첫 관문 ◦ 여러분은 아직 많이 남아서.. 그때 정책이 어떨지는 아무도 몰라요. • 하이브리드 (대학원 유학) ◦ 지금은 좋은 선택이라고 보임. ◦ 중간에 해외 인턴도 좋아요.
  13. 내게 도움이 된 것들 • 좋은 기회는 주저하지 말자. ◦

    자격이 부족하다? 경험상 자격은 항상 부족하다. • 일 - 학교와 굉장히 다른 시각에서 배울 수 있어요. • 주식 - 현대 사회의 근간. • 독서 - 좋은 책들이 정말 많아요. • 여행 (혹은 다른 취미 활동)
  14. 마치며 • 학생들한테는 뜬구름 잡는 소리인 것은 사실. ◦ 2005년의

    나: IOI 나가고 싶다 + 대학은 뭐 하는 곳인가요. • 시작에서 얘기했지만, 노답인 얘기임. ◦ 당장 뭘 하라는 것도 아니에요. • 틀린 것 같은 부분은 무시해요. ◦ 여러분 생각이 더 중요해요. ◦ 왜 틀렸다고 생각하는지 알려주시면 매우 감사. • 프로그래밍 계속 재미있게 해요. • 왠만한 실수는 괜찮아요.
  15. Q & A - (실제 질문들 + 다듬은 답변) Q.

    지금 학생들이 개발자를 할 때쯤이면 공급이 너무 많아져서 매력이 없지 않을까 요? A. 우선 그렇게 될 것 같지 않다. 고급 개발자에 대한 수요는 10년 뒤에도 클 것이 라고 예상한다. 하지만 만약에 매력이 없어진다고 해도 여러분에게 큰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여러분의 강점이 개발자일 때만 드러나는 것은 아니기 때 문이다. 나는 정보올림피아드 출신 학생의 가장 큰 장점은 생각하는 힘이라고 생각한다. 문제를 봤을 때, 수학적 모델로 추상화하고, 그 모델에서 답을 찾아 내고, 논리적으로 증명하는 능력은 굳이 개발을 하지 않는다고 해도 값지게 사 용될 것이다. 그리고 이 분야를 계속 공부하는 것은 이런 능력을 계속해서 기르 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본다.
  16. Q & A - (실제 질문들 + 다듬은 답변) Q.

    저는 시스템은 절대로 하지 않을 건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A. 시스템은 굉장히 넓은 분야인데, 벌써 단정 지어서 얘기할 필요는 없다. 이 질 문이 나한테 더 와 닿았는데, 나도 똑같이 생각했기 때문이다. 대학 졸업할 때 까지도 조건만 간신히 채우고 시스템 과목들은 최대한 피해 다녔다. 그런데 개 발을 배우면 배울수록 이 분야의 매력들을 알게 되었다 (아직도 모르는 게 너무 많은 건 함정). 사실 지금 시스템을 어려워하는 것은 굉장히 정상적인 일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주위에 괴수들이 많아서 미리 단념하기 쉬운 것은 인정한다. 하지만 아직 시간은 많고, 배울 것도 진짜 많다. 아직은 가능성을 열어두고, 이 것저것 해보는 게 더 좋을 것 같다.
  17. Q & A - (실제 질문들 + 다듬은 답변) Q.

    영어는 어떻게 공부했나요? A. (영어는 아직도 장벽이자 시련입니다만…) 한국에서 영어는 두려움 그 자체다. 정답만 강요받는 식으로 교육을 받고, 10년을 공부해도 말 한마디 안 나온다. 어찌어찌 대학을 왔을 때, 오리엔테이션에서 한 마디도 못 알아듣고 절망했던 기억도 있다. 그래도 미국을 오고 계속 말할 일이 생기다 보니까 많이 좋아졌 다. 유학 준비할 때는 미드도 많이 보고, 카세트테이프도 계속해서 들었다. 그 언어에 익숙해지려고 노력을 많이 했는데, 들인 시간 대비 효과적이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그래도 유학이라는 눈앞의 목표가 있어서 어느 정도 점수는 맞춘 것 같다. 그래서 더욱 유학 기회가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나를 비롯한 대다수 공돌이는 왠지 언어를 잘 습득 못 하는데, 밖에 내던져지면 그나마 꾸역꾸역 는 다. 반대로 안 내던져지면 어떻게 늘었을지 잘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