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grade to Pro
— share decks privately, control downloads, hide ads and more …
Speaker Deck
Features
Speaker Deck
PRO
Sign in
Sign up for free
Search
Search
Refactoring to Expressive Kotlin
Search
DavidKwon7
June 28, 2024
Technology
0
660
Refactoring to Expressive Kotlin
2024.06.29
kotlinConf'24
DavidKwon7
June 28, 2024
Tweet
Share
More Decks by DavidKwon7
See All by DavidKwon7
Android는 어떻게 화면을 그릴까?
davidkwon7
0
120
Jetpack Glance
davidkwon7
0
150
UI Test with Compose
davidkwon7
0
170
Relay_및_Compose를_사용하여_완전한_앱_빌드하기.pdf
davidkwon7
0
550
Flow 느껴보기
davidkwon7
1
140
WearOS 101
davidkwon7
0
67
Other Decks in Technology
See All in Technology
OPENLOGI Company Profile
hr01
0
67k
Connect 100+を支える技術
kanyamaguc
0
150
AWS Organizations 新機能!マルチパーティ承認の紹介
yhana
1
230
「Chatwork」の認証基盤の移行とログ活用によるプロダクト改善
kubell_hr
1
240
ハッカソン by 生成AIハッカソンvol.05
1ftseabass
PRO
0
150
Zephyr RTOSを使った開発コンペに参加した件
iotengineer22
0
160
「良さそう」と「とても良い」の間には 「良さそうだがホンマか」がたくさんある / 2025.07.01 LLM品質Night
smiyawaki0820
1
430
Fabric + Databricks 2025.6 の最新情報ピックアップ
ryomaru0825
1
160
250627 関西Ruby会議08 前夜祭 RejectKaigi「DJ on Ruby Ver.0.1」
msykd
PRO
2
370
KubeCon + CloudNativeCon Japan 2025 Recap Opening & Choose Your Own Adventureシリーズまとめ
mmmatsuda
0
240
asken AI勉強会(Android)
tadashi_sato
0
140
Should Our Project Join the CNCF? (Japanese Recap)
whywaita
PRO
0
300
Featured
See All Featured
YesSQL, Process and Tooling at Scale
rocio
173
14k
Understanding Cognitive Biases in Performance Measurement
bluesmoon
29
1.8k
実際に使うSQLの書き方 徹底解説 / pgcon21j-tutorial
soudai
PRO
181
53k
Optimising Largest Contentful Paint
csswizardry
37
3.3k
Practical Tips for Bootstrapping Information Extraction Pipelines
honnibal
PRO
20
1.3k
Visualizing Your Data: Incorporating Mongo into Loggly Infrastructure
mongodb
46
9.6k
The Art of Delivering Value - GDevCon NA Keynote
reverentgeek
15
1.5k
Fireside Chat
paigeccino
37
3.5k
Visualization
eitanlees
146
16k
Producing Creativity
orderedlist
PRO
346
40k
Optimizing for Happiness
mojombo
379
70k
Embracing the Ebb and Flow
colly
86
4.7k
Transcript
Refactoring to Expressive Kotlin KotlinConf’24 권혁준
None
None
None
None
None
None
`hikariDataSource` function name refactoring → createHikariDataSource → convertToHikariDataSource → toHikariDataSource
→ hikariDataSourceFrom → hikariDataSourceFor
Naming - Naming Refactoring은 왜 필요할까?
Naming
Naming
Naming - 올바른 Naming 규칙은?
Naming - 서술적인 이름 짓기 - 명확성 - 기존에 약속된
naming 스타일에 맞추기 - 변수는 특정적인 단어, 함수는 동사 선호
this this 가 쓰이는 상황 this 의미 class 내부 class
현재 객체를 참조 확장 함수 내부 . 왼쪽에 전달 된 리시버 파라미터 참조
this
this
this
Kotlin - generics - Generics는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 - Generics를 사용함으로써 , 다양한 타입의 객체를 다룰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입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일반화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Kotlin - generics 예제1 - Combine
Kotlin - generics 예제1 - Combine
Kotlin - generics 예제1 - Combine
Kotlin - generics 예제1 - Combine
Kotlin - generics 예제2 - Channel
Kotlin - generics 예제2 - Channel private val _viewEvent =
Channel<Event<Any>>() val viewEvent: ReceiveChannel<Event<Any>> = _viewEvent fun viewEvent(content: Any) { viewModelScope.launch(BaseCoroutine. default) { _viewEvent.send(Event(content)) } }
Kotlin - generics 예제2 - Channel private val _viewEvent =
Channel<Event<Any>>() val viewEvent: ReceiveChannel<Event<Any>> = _viewEvent fun viewEvent(content: Any) { viewModelScope.launch(BaseCoroutine. default) { _viewEvent.send(Event(content)) } }
Kotlin - generics
Kotlin - generics - 무공변성 : 기본 Generic. - out
(공변성) : 제네릭 타입 매개변수가 반환 타입으로 사용될 때 지정하며, 하위 타입으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 in(반공변성) : 제네릭 타입 매개변수가 매개변수로 사용될 때 지정하며, 상위 타입으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Kotlin - generics out (공변성) - 타입 매개변수가 생산(produce) :
반환타입으로 사용 - 하위 타입 : 타입 매개변수는 하위 타입으로 취급 가능
Kotlin - generics out 데이터 생산(read) / 하위 타입
Kotlin - generics in (반공변성) - 타입 매개변수가 소비(consume) :
매개변수로 사용될 때 - 상위 타입 : 타입 매개변수는 상위 타입으로 취급 가능
Kotlin - generic function in 데이터 소비 / 상위 타입
Kotlin - generics where
Kotlin - generics where
Kotlin - generics where
inline function
inline function
inline function lambda function은 생성되는 시점에 무명 class 객체가 생성.
inline을 붙여주면, 방지 가능
noinline function
Scope function 객체의 범위(scope)에서 코드를 실행하거나 객체를 조작할 수 있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 주로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객체 지향적인 설계를 간결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apply private fun hikerDataSource(): HikariDataSource { val dataSource = HikariDataSource()
dataSource.jdcUrl = jdcUrl.toString() dataSource.username = username dataSource.password = password dataSource.validate() return dataSource }
apply private fun hikerDataSource(): HikariDataSource { val dataSource = HikariDataSource().apply
{ dcUrl = jdcUrl.toString() username = username password = password } dataSource.validate() return dataSource }
apply inline fun <T> T.apply(block: T.() -> Unit): T -
객체를 초기화하거나 설정할 때 유용 - 객체를 인자로 받고, 객체 자신을 반환
with
with inline fun <T, R> with (receiver: T, block: T.()
-> R) : R { return receiver.block() } - 객체 값 접근 및 수정하는 경우 - 객체를 인자로 받고, 블록 내에서 객체 멤버에 직접 접근 가능 - this 를 사용하지 않아도 접근 가능
run 사용 예시
run inline fun <T, R> T.run(block: T.() -> R): R
{ return block() } - 지역 변수의 범위 제한 (isolate a block of code) - 객체의 함수를 호출하거나 객체 초기화 시 사용 - 블록 내에서 this 키워드를 사용하여 객체에 접근 가능 - 블록의 마지막 표현식 반환
also 사용 예시
also public inline fun <T>.also( block: (T) -> Unit ):
T - 객체를 사용하고 반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부가적인 작업을 수행할 때 유용. - 객체를 인자로 받고, 블록 내에서 객체를 수정 - it 을 사용하여 객체에 접근 - 객체 자신을 반환, 최종 결과에 영향을 끼치지 않음.
let 사용 예시
let public inline fun <T, R> T.let(block: (T) -> R):
R - nullable 처리 - 객체를 사용하고 그 결과를 반환해야 하는 경우 - 블록 내에서 it 키워드를 사용하여 객체에 접근 가능
let 사용 예시
Scope function Scope function 특징 반환값 let it 을 사용해서
객체 접근 블록의 결과 run this 을 사용해서 객체 접근 블록의 결과 with -객체를 인자로 받음 -this 없이 객체의 멤버에 직접 접근 가능 블록의 결과 apply this 없이 객체의 멤버에 직접 접근 가능 객체 자신 also it 키워드를 사용하여 객체 접근 객체 자신
함수 참조
함수 참조
함수 참조
감사합니다
Share your feedback to help us better understand your KotlinConf’24
Global experience! Subtitle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