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grade to Pro
— share decks privately, control downloads, hide ads and more …
Speaker Deck
Features
Speaker Deck
PRO
Sign in
Sign up for free
Search
Search
Refactoring to Expressive Kotlin
Search
DavidKwon7
June 28, 2024
Technology
0
630
Refactoring to Expressive Kotlin
2024.06.29
kotlinConf'24
DavidKwon7
June 28, 2024
Tweet
Share
More Decks by DavidKwon7
See All by DavidKwon7
Android는 어떻게 화면을 그릴까?
davidkwon7
0
110
Jetpack Glance
davidkwon7
0
140
UI Test with Compose
davidkwon7
0
150
Relay_및_Compose를_사용하여_완전한_앱_빌드하기.pdf
davidkwon7
0
510
Flow 느껴보기
davidkwon7
1
130
WearOS 101
davidkwon7
0
63
Other Decks in Technology
See All in Technology
地味にいろいろあった! 2025春のAmazon Bedrockアップデートおさらい
minorun365
PRO
2
550
【Λ(らむだ)】最近のアプデ情報 / RPALT20250422
lambda
0
340
Compose におけるパスワード自動入力とパスワード保存
tonionagauzzi
0
190
Новые мапы в Go. Вова Марунин, Clatch, МТС
lamodatech
0
1.6k
OpenLane-V2ベンチマークと代表的な手法
kzykmyzw
0
150
読んで学ぶ Amplify Gen2 / Amplify と CDK の関係を紐解く #jawsug_tokyo
tacck
PRO
1
300
Web Intelligence and Visual Media Analytics
weblyzard
PRO
1
6k
ペアーズにおける評価ドリブンな AI Agent 開発のご紹介
fukubaka0825
7
2k
Databricksで完全履修!オールインワンレイクハウスは実在した!
akuwano
0
140
LLM 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クラウドセキュリティ - CSPM の実装ポイント-
osakatechlab
0
160
バクラクの認証基盤の成長と現在地 / bakuraku-authn-platform
convto
4
880
AIでめっちゃ便利になったけど、結局みんなで学ぶよねっていう話
kakehashi
PRO
1
520
Featured
See All Featured
Writing Fast Ruby
sferik
628
61k
GitHub's CSS Performance
jonrohan
1031
460k
Scaling GitHub
holman
459
140k
RailsConf 2023
tenderlove
30
1.1k
Save Time (by Creating Custom Rails Generators)
garrettdimon
PRO
31
1.2k
The Myth of the Modular Monolith - Day 2 Keynote - Rails World 2024
eileencodes
23
2.7k
StorybookのUI Testing Handbookを読んだ
zakiyama
30
5.7k
I Don’t Have Time: Getting Over the Fear to Launch Your Podcast
jcasabona
32
2.3k
Building Flexible Design Systems
yeseniaperezcruz
329
39k
[Rails World 2023 - Day 1 Closing Keynote] - The Magic of Rails
eileencodes
34
2.2k
KATA
mclloyd
29
14k
Statistics for Hackers
jakevdp
798
220k
Transcript
Refactoring to Expressive Kotlin KotlinConf’24 권혁준
None
None
None
None
None
None
`hikariDataSource` function name refactoring → createHikariDataSource → convertToHikariDataSource → toHikariDataSource
→ hikariDataSourceFrom → hikariDataSourceFor
Naming - Naming Refactoring은 왜 필요할까?
Naming
Naming
Naming - 올바른 Naming 규칙은?
Naming - 서술적인 이름 짓기 - 명확성 - 기존에 약속된
naming 스타일에 맞추기 - 변수는 특정적인 단어, 함수는 동사 선호
this this 가 쓰이는 상황 this 의미 class 내부 class
현재 객체를 참조 확장 함수 내부 . 왼쪽에 전달 된 리시버 파라미터 참조
this
this
this
Kotlin - generics - Generics는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 - Generics를 사용함으로써 , 다양한 타입의 객체를 다룰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입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일반화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Kotlin - generics 예제1 - Combine
Kotlin - generics 예제1 - Combine
Kotlin - generics 예제1 - Combine
Kotlin - generics 예제1 - Combine
Kotlin - generics 예제2 - Channel
Kotlin - generics 예제2 - Channel private val _viewEvent =
Channel<Event<Any>>() val viewEvent: ReceiveChannel<Event<Any>> = _viewEvent fun viewEvent(content: Any) { viewModelScope.launch(BaseCoroutine. default) { _viewEvent.send(Event(content)) } }
Kotlin - generics 예제2 - Channel private val _viewEvent =
Channel<Event<Any>>() val viewEvent: ReceiveChannel<Event<Any>> = _viewEvent fun viewEvent(content: Any) { viewModelScope.launch(BaseCoroutine. default) { _viewEvent.send(Event(content)) } }
Kotlin - generics
Kotlin - generics - 무공변성 : 기본 Generic. - out
(공변성) : 제네릭 타입 매개변수가 반환 타입으로 사용될 때 지정하며, 하위 타입으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 in(반공변성) : 제네릭 타입 매개변수가 매개변수로 사용될 때 지정하며, 상위 타입으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Kotlin - generics out (공변성) - 타입 매개변수가 생산(produce) :
반환타입으로 사용 - 하위 타입 : 타입 매개변수는 하위 타입으로 취급 가능
Kotlin - generics out 데이터 생산(read) / 하위 타입
Kotlin - generics in (반공변성) - 타입 매개변수가 소비(consume) :
매개변수로 사용될 때 - 상위 타입 : 타입 매개변수는 상위 타입으로 취급 가능
Kotlin - generic function in 데이터 소비 / 상위 타입
Kotlin - generics where
Kotlin - generics where
Kotlin - generics where
inline function
inline function
inline function lambda function은 생성되는 시점에 무명 class 객체가 생성.
inline을 붙여주면, 방지 가능
noinline function
Scope function 객체의 범위(scope)에서 코드를 실행하거나 객체를 조작할 수 있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 주로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객체 지향적인 설계를 간결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apply private fun hikerDataSource(): HikariDataSource { val dataSource = HikariDataSource()
dataSource.jdcUrl = jdcUrl.toString() dataSource.username = username dataSource.password = password dataSource.validate() return dataSource }
apply private fun hikerDataSource(): HikariDataSource { val dataSource = HikariDataSource().apply
{ dcUrl = jdcUrl.toString() username = username password = password } dataSource.validate() return dataSource }
apply inline fun <T> T.apply(block: T.() -> Unit): T -
객체를 초기화하거나 설정할 때 유용 - 객체를 인자로 받고, 객체 자신을 반환
with
with inline fun <T, R> with (receiver: T, block: T.()
-> R) : R { return receiver.block() } - 객체 값 접근 및 수정하는 경우 - 객체를 인자로 받고, 블록 내에서 객체 멤버에 직접 접근 가능 - this 를 사용하지 않아도 접근 가능
run 사용 예시
run inline fun <T, R> T.run(block: T.() -> R): R
{ return block() } - 지역 변수의 범위 제한 (isolate a block of code) - 객체의 함수를 호출하거나 객체 초기화 시 사용 - 블록 내에서 this 키워드를 사용하여 객체에 접근 가능 - 블록의 마지막 표현식 반환
also 사용 예시
also public inline fun <T>.also( block: (T) -> Unit ):
T - 객체를 사용하고 반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부가적인 작업을 수행할 때 유용. - 객체를 인자로 받고, 블록 내에서 객체를 수정 - it 을 사용하여 객체에 접근 - 객체 자신을 반환, 최종 결과에 영향을 끼치지 않음.
let 사용 예시
let public inline fun <T, R> T.let(block: (T) -> R):
R - nullable 처리 - 객체를 사용하고 그 결과를 반환해야 하는 경우 - 블록 내에서 it 키워드를 사용하여 객체에 접근 가능
let 사용 예시
Scope function Scope function 특징 반환값 let it 을 사용해서
객체 접근 블록의 결과 run this 을 사용해서 객체 접근 블록의 결과 with -객체를 인자로 받음 -this 없이 객체의 멤버에 직접 접근 가능 블록의 결과 apply this 없이 객체의 멤버에 직접 접근 가능 객체 자신 also it 키워드를 사용하여 객체 접근 객체 자신
함수 참조
함수 참조
함수 참조
감사합니다
Share your feedback to help us better understand your KotlinConf’24
Global experience! Subtitle Text